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번~6번 타자, 팀 공격의 중심을 이루는 핵심 타순

by exit-daily-life 2025. 6. 2.

야구를 조금만 깊게 보면 금방 눈에 띄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바로 ‘타순의 설계’ 예요.
그중에서도 4번, 5번, 6번 타자는 팀 득점의 중심이 되는 핵심 구간입니다.
보통 이 세 타자가 묶여 있는 라인을 클린업 트리오(Cleanup Trio)라고 부르는데요,

보통은 힘 좋은 타자들이 많이 있다고 알고 있는데요.

단순이 힘만 좋다고 4,5,6번에 자리하지는 않아요. 

상대 투수진에게 위압감을 주는 타자들이 많이 자리하죠.

흔히 하는 말고 산 넘어 산 넘어 산이라고 하죠. 쉬어갈 틈을 안 주는 거죠.
말 그대로 공격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고 점수를 만들어야 하는 역할을 맡고 있죠.

야구는 단순히 좋은 타자만 앞뒤로 늘어놓는다고 점수가 나는 경기가 아닙니다.
각 타순마다 맡는 임무가 다르고, 선수의 특성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자리에 배치하는 게 중요해요.
이 글에서는 특히 많은 관심을 받는 4번, 5번, 6번 타자의 주요 역할과 유형들을 소개해드릴게요.

 

뻘랫줄 같은 타고 담장~ 담장 넘어갑니다 !

 


 

4번 타자는 ‘해결사’, 단순히 홈런 타자만은 아니다

‘4번 타자’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죠.
“힘 좋은 거포! 한 방에 경기 분위기를 바꾸는 홈런 타자!”
이게 아주 틀린 건 아니지만, 요즘 야구는 좀 더 복합적입니다.
단순히 힘만 센 타자가 4번을 맡는 시대는 지났어요.

4번 타자는 찬스에서 꼭 점수를 만들어줘야 하는 해결사입니다.
무조건 홈런을 쳐야 하는 건 아니고, 찬스에 강해야 해요.
1번부터 3번이 만든 주자 상황에서 타석에 들어오는 일이 많기 때문에,
클러치 능력(기회에서의 집중력), 타점 생산력, 그리고 압박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멘털이 중요합니다.

▷ 대표적인 4번 타자의 유형은 다음과 같아요:

  • 정통 거포형 4번: 홈런 위협이 강하고 장타력이 뛰어난 선수. 상대 투수에게 심리적 압박을 줍니다. 대표적으로 이승엽, 박병호 같은 선수들.
  • 컨택 + 장타형 4번: 타율도 높고, 필요할 땐 장타도 가능한 유형. 기복이 적고 찬스 처리 능력이 탁월합니다. 요즘 KBO에선 양의지(두산) 같은 선수.
  • 팀 중심형 4번: 타율이나 장타율은 보통이지만, 타점 기회에 집중하는 멘탈 중심의 리더형 타자.

예전에는 4번 자리에 일관되게 한 명을 고정시키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야구는 타순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강한 3번·강한 2번’ 전략이 떠오르면서
4번 자리에 꼭 홈런 타자만 넣지는 않아요. 중요한 건 찬스를 놓치지 않는 집중력과 자신감입니다.

 


 

5번 타자는 득점 연결자이자 숨은 해결사

5번 타자는 야구에서 꽤 전략적인 자리입니다.
‘강한 타순’에 포함되긴 하지만, 4번처럼 시선을 끌진 않죠.
하지만 실제 경기 흐름을 보면, 5번 타자의 활약이 점수와 직결되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4번 타자가 찬스를 놓쳤을 때, 그 뒤를 마무리하는 건 5번 타자입니다.
게다가 주자가 있을 때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는 타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5번 타자는 파워와 집중력, 상황 판단 능력이 모두 요구돼요.

▷ 5번 타자의 유형은 대략 이런 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클러치형 5번: 타점 찬스에서 집중력이 뛰어난 선수. 4번이 놓친 점수를 대신 책임지는 해결사.
  • 좌우 밸런스형 5번: 상대 불펜을 고려해 4번과 좌우 밸런스를 맞춰 투수를 혼란스럽게 만듭니다.
  • 파괴력 연장형 5번: 4번에 이어 장타력을 유지해 클린업 라인의 연속 득점을 이끄는 스타일.

KBO에서는 5번에 포수나 지명타자 유형이 자주 배치됩니다.
팀 수비에서 중심을 잡아주는 선수들이 공격에서도 한몫해 줄 때, 팀 전체 밸런스가 안정적이거든요.

그리고 5번은 심리적으로도 눈에 띄지 않지만 무섭게 다가오는 자리입니다.
상대 투수 입장에선 “겨우 4번 넘겼더니 또 강타자야?” 싶은 심리적 부담을 안겨주기 때문이죠.

 


 

6번 타자는 클린업의 마무리이자 중하위 타선의 시동 역할

6번 타자는 클린업 라인의 마지막입니다.
동시에 7번~9번으로 이어지는 중하위 타순의 기점이 되기도 해요.
그래서 6번 자리엔 장타력만큼이나, 출루 능력과 연결 능력이 있는 선수가 배치되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주자가 1루나 2루에 있는 상황에서 6번 타자가 안타를 치면
상대팀은 이제 7, 8, 9번이 나오는데도 점수를 내줬다는 심리적 압박을 느낍니다.
또한 6번이 출루에 성공하면 다음 타순에서 한 번 더 기회를 만들어낼 수도 있죠.

▷ 6번 타자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아요:

  • 유틸리티형 6번: 수비나 주루까지 가능한 선수로, 팀 전체 흐름을 안정시키는 역할.
  • 재기발랄형 6번: 빠르고 과감한 타격을 보여주는 스타일. 중하위 타순에서 기회를 다시 끌어올립니다.
  • 공격 연장형 6번: 클린업의 파괴력을 이어받아 장타로 추가 득점을 만들어내는 타자.

실제로 잘 짜인 타선에서는 6번이 꽤나 치명적인 순간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대 입장에서는 전력을 다해 1~5번을 넘겼더니,
6번이 다시 기회를 만들고 1번까지 연결되는 상황이 벌어지니까요.

결국 야구는 한 바퀴 돌면 다시 처음으로 돌아오는 순환 게임이고,
그 고리를 만들어주는 게 바로 6번 타자입니다.

 


 

중심 타선은 ‘기술 + 심리전’의 교차점

4번부터 6번까지, 단순히 ‘강타자’만 모아놓는다고 효과적인 건 아닙니다.
이 구간은 심리전, 득점 효율, 그리고 흐름을 읽는 능력이 동시에 요구되는 핵심 타순이에요.

  • 4번은 확실한 득점 처리 능력을 가진 해결사
  • 5번은 찬스가 이어지든 끊기든 상관없이 흐름을 이어주는 연결자
  • 6번은 다음 타순으로 다시 기회를 돌리는 중요한 고리

야구 입문자분들이 이 글을 계기로 타순의 흐름을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게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경기를 보다 보면 “아, 이 선수가 5번에 왜 나왔을까?”,
“6번이 저기서 안타 치면 타순 한 번 더 도는구나!” 하는 감이 잡히게 될 거예요.

다음 편에서는 7번부터 9번 순서인 하위타선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