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3 투수 마운드에 숨겨진 이야기 — 단순한 흙언덕이 아니다 야구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곳 중 하나가 바로 투수 마운드다. 경기장 한가운데, 타자와 맞서는 투수가 홀로 서 있는 그 작은 원형의 언덕. 하지만 이 마운드는 단순히 투수가 서는 ‘흙언덕’이 아니다. 야구의 규칙, 과학, 그리고 심리전이 모두 녹아 있는 핵심적인 공간이다.오늘은 야구를 이제 막 알아가고 있는 분들을 위해, 투수 마운드의 비밀과 흥미로운 사실들을 하나씩 풀어보려 한다. 투수 마운드의 높이와 거리 — 10인치의 과학투수 마운드는 MLB(메이저리그) 기준으로 홈플레이트에서 60피트 6인치(약 18.44m) 떨어져 있고, 높이는 10인치(약 25.4cm)로 정해져 있다.이 수치 하나하나가 단순한 전통이 아니라, 오랜 역사 속 실험과 조정의 결과물이라는 사실이 흥미롭다.마운드가 생긴 이유초창기 .. 2025. 10. 20. 메이저리그 연금 제도란?? 메이저리그 연금 제도란 무엇일까?야구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이런 기사 보신 적 있을 겁니다.“○○ 선수가 메이저리그에서 오래 뛰지 못했는데도 평생 연금을 받는다.”처음 들으면 의아하실 수 있어요. “아니, 메이저리그에서 몇 년 뛰지도 않았는데 평생 연금이 나온다고?” 싶으시죠.여기서 말하는 게 바로 메이저리그 선수 연금 제도입니다.메이저리그 연금은 1947년부터 시행된, 선수 복지를 위한 제도입니다. 당시에는 선수들이 은퇴 후 생활이 너무 힘들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됐죠. 지금은 전 세계 프로스포츠 중에서도 가장 잘 정비된 연금 제도로 꼽힙니다.핵심은 이렇습니다.메이저리그에서 일정 기간 이상 서비스 타임(Service Time)을 쌓은 선수라면 은퇴 후 일정 나이가 되면 평생 연금을 받습니다.이 .. 2025. 9. 2. 메이저리그의 40인 로스터가 궁금하다. 메이저리그 40인 로스터란 무엇일까?야구를 조금 오래 보신 분들이라면 기사에서 “○○ 선수가 40인 로스터에 포함됐다” 혹은 “40인 로스터에서 제외됐다(Designated for Assignment, DFA)”라는 표현을 한 번쯤은 접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이게 정확히 무슨 뜻인지, 왜 그렇게 중요하게 다뤄지는지는 조금 헷갈릴 수 있어요.간단히 말해서 40인 로스터(40-Man Roster)는 메이저리그 구단이 보유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선수 명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에는 ‘당장 메이저리그에서 뛸 수 있는 선수’와 ‘앞으로 뛸 가능성이 있는 유망주’가 모두 포함됩니다.조금 더 풀어서 설명하자면:메이저리그 팀은 시즌을 운영할 때 기본적으로 활동 로스터(Active Roster)라는 걸 씁니다. .. 2025. 9. 2. 웨이버 공시란? 웨이버 공시란 무엇일까?야구를 조금 더 깊게 들여다보다 보면 선수 관련 뉴스에서 가끔 “○○ 선수가 웨이버 공시됐다”라는 표현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처음 접하는 분들께는 생소할 수 있는데, 사실 이 제도는 프로야구에서 선수들의 이동과 계약을 관리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쉽게 말해, 웨이버 공시(Waiver Disclosure)는 구단이 보유하고 있던 선수를 더 이상 등록하지 않고 다른 팀이 데려갈 수 있도록 공개하는 절차입니다. ‘선수를 시장에 내놓는다’는 느낌에 가깝죠.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볼게요.구단이 어떤 선수를 당장 전력에서 제외하거나, 1군·2군 명단에 등록하지 않으려는 상황이 생깁니다.이때 단순히 계약을 해지하는 게 아니라, 리그 전체에 공시를 합니다. “이 선수 웨이버 공시합니다. 필요하.. 2025. 9. 2. 퍼펙트게임과 완봉승의 차이와 그 의미에 대해 퍼펙트게임과 완봉승, 야구 투수의 영광야구는 기록의 스포츠라고 불릴 만큼 다양한 숫자와 용어가 얽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팬들이 가장 감탄하고, 선수 본인에게도 최고의 명예로 여겨지는 기록이 바로 퍼펙트게임과 완봉승입니다. 두 용어 모두 투수가 한 경기에서 엄청난 활약을 펼쳤다는 걸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기준과 의미에서 차이가 큽니다. 야구를 처음 접하신 분들은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기도 하지요. 오늘은 이 두 기록을 차근차근 풀어내고, 실제 야구장에서 어떤 감동적인 순간을 만들어내는지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완봉승의 의미와 투수에게 주는 가치먼저 완봉승(Complete Game Shutout)부터 살펴보겠습니다.완봉승은 말 그대로 한 투수가 한 경기를 끝까지 책임지고 단 한 점도 내주지 않은 채 승리하.. 2025. 9. 2. 낫아웃 그것이 궁금하다. 낫아웃 규칙, 야구를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한 친절한 설명야구를 보다 보면 중계진이 갑자기 “낫아웃 상황입니다!” 하고 외치는 걸 들어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막상 화면을 보면, 분명 타자가 삼진 아웃 같아 보이는데 주루로 달려 나가고, 포수는 그 공을 주워서 1루에 던지거나 태그를 하려 하고… 처음 접하는 분들은 “아니 삼진이면 그냥 아웃이지, 왜 또 달리냐?” 하고 당황하실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야구의 묘미 중 하나인 낫아웃(혹은 삼진 낫아웃) 규칙입니다.오늘은 이 규칙이 왜 존재하는지, 실제 경기에서는 어떤 상황에서 적용되는지, 그리고 선수들과 팬들이 낫아웃을 대하는 모습까지 차근차근 풀어드리겠습니다. 낫아웃 규칙의 기본 개념과 탄생 배경먼저 낫아웃 규칙의 기본 정의부터 살펴보겠습니다.. 2025. 9. 1. 이전 1 2 3 4 5 ··· 13 다음